최상위 도메인, 서브도메인, 주차도메인? 도메인 용도별 명칭 정확히 이해하기
도메인 개념이 복잡하다고 느껴지시나요? 웹사이트를 운영하거나 호스팅 서비스를 사용할 때 각 도메인의 차이점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을 통해 메인 도메인, 추가 도메인, 주차 도메인, 서브 도메인의 개념과 그 차이점을 실제 예시를 통해 명확히 이해해봅시다. 이 글을 읽고 나면, 도메인 관리가 쉬워지고, 효과적인 브랜딩과 SEO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워플 추천 영상👇
도메인을 잘 구분해야 하는 이유
최상위 도메인, 하위 도메인, 주차 도메인, 뭔 도메인들이 이렇게 많은지..ㅎㅎ 블로그를 시작하면 여러가지 배울 것들이 투성입니다. 그래도 블린이 여러분들이 여러 도메인 개념들을 명확히 알고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중요합니다.
- 호스팅 사용 편리성: 많은 호스팅 서비스들이 메뉴 이름을 각 도메인 사용 용도별로 다르게 설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 개념을 잘 구분해야, 내 도메인을 원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 SEO 최적화: 도메인으로 어떠한 역할을 설정할 수 있는지 알면 SEO 전략을 더 효과적으로 세울 수 있습니다.
- 애드센스 승인 활용: 서브 도메인은 메인 도메인에서 승인된 애드센스를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1. 주 도메인(Primary Domain)
주 도메인은 cPanel 계정의 메인이 되는, 주인장 도메인 이름입니다. 호스팅 서비스를 처음 주문할 때, 사용하는 도메인으로, 메인 도메인의 문서 루트는 항상 public_html
폴더입니다.
저의 경우 워플 도메인 wplaybook.com이 저의 호스팅 주 도메인이었습니다.
예시:
- 주 도메인:
wplaybook.com
- 문서 루트:
public_html
URL 구조
우리가 메인 링크를 걸기 위해 사용하는 URL은 다음과 같이 여러가지 명칭으로 쪼개어 부를 수 있는데요, 그림을 보시죠!
따라서, 저의 주 도메인 인 wplaybook.com은 .com이라는 최상위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네요. 최상위 도메인에는 .com이나 .org, .net, .info 같은 것들이 대표적입니다.
최상위 도메인(Top-level domain, TLD)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에서 최상위 도메인(Top-level domain, TLD)은 도메인 이름의 마지막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example.com
에서 com
이 최상위 도메인입니다. TLD는 일반적으로 도메인 이름을 분류하고, 각기 다른 목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최상위 도메인은 용어 정리 차원에서 언급해드렸습니다. 헷갈리지 마세요! 우리는 구입한 도메인을 현재 주 도메인으로 사용해서 케미클라우드 같은 호스팅 업체와 계약을 맺고 처음 블로그를 만든 것입니다! 🙂
2. 추가 도메인(Addon Domain)
cPannel에서 추가 도메인(Addon Domain)을 등록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으시게 될 것인데요, 여기서 추가 도메인은 호스팅 서버에 추가로 등록한 도메인으로, 주 도메인과는 완전히 다른 웹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즉, 한 호스팅 계정에 다른 두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싶다면, Addon Domain을 하나 구매하면 되겠군요. 추가 도메인을 통해 완전히 다른 브랜딩(웹사이트)을 운영 할 수 있습니다.
예시:
- 주 도메인:
wplaybook.com
- 추가 도메인:
statisticsplaybook.com
은 별도의 사이트를 나타내며, 별도의 문서 루트가 있습니다.statisticsplaybook.com
- 예를 들어,
wplaybook.com
은 온라인 수익화를 이야기하지만,
은 통계 교육 사이트 입니다. 이렇게 하면 각 사이트는 서로 다른 브랜딩을 가질 수 있습니다.statisticsplaybook.com
추가도메인을 사용한 두번째 블로그 만들기
주도메인이 존재하고, 새로운 도메인을 사서 호스팅에서 두번째 블로그를 만드는 방법이 궁금하신분은 아래글을 참고해주세요!
3. 주차 도메인(Parked Domain), 별칭 도메인(Alias)
주차 도메인 또는 별칭 도메인은 다른 도메인 이름과 동일한 사이트로 연결되는 도메인입니다. 주 도메인 이름 위에 주차 된(Parked) 도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람도 여러 이름을 사용하죠? 예를 들어 저의 한국 이름은 ‘이삭’인데, 미국에서는 ‘Issac’이라는 이름을 씁니다. 예를 들어, 제가 issaclee.com을 개인 홈페이지의 주 도메인으로 사용하고 있더라고, 저를 이삭으로 알고있는 몇몇 사람들은 saklee.com을 쳐서 들어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saklee.com을 쳤을 때, 주 도메인인 issaclee.com으로 보내고 싶은 경우, saklee.com을 issaclee.com의 주차 도메인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찌보면 saklee.com은 issaclee.com의 별명 같은 거라서, 별칭(alias) 도메인이라고도 부릅니다.
워플:WPlaybook
실제 예시를 들어드리겠습니다. 제가 최근 작업했던 아인내과 홈페이지 주 도메인은 aiin-medical.com입니다. 그리고, 아인내과는 aiinmedical.co.kr을 주차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실제 예시: 아인병원 홈페이지
- 주 도메인:
aiin-medical.com
- 주차 도메인:
aiinmedical.co.kr
aiinmedical.co.kr
을 방문하면
과 동일한 웹사이트가 표시됩니다.aiin-medical.com
서브도메인(Subdomain), 하위 도메인
서브도메인은 주 도메인에 추가된 하위 도메인입니다. 이제까지 이야기 했던 주 도메인, 추가 도메인, 주차 도메인으로 사용되는 도메인들은 네임칩 같은 도메인 사이트를 통해서 구입해야 하는 도메인들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때 부르는 이름들이었습니다.
- 서브도메인은 구매하는 개념이 아닙니다.
서브도메인은 구입한 도메인을 세부적인 사용 목적을 위해, 앞에 단어를 추가해 준 것 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웹사이트를 만들기 위해 mypetstore.com
도메인을 주도메인으로 구매했다고 가정합시다.
서브도메인 사용이유 1: 홈페이지 내용 세분화
펫이라는 개념은 광범위하죠? 그래서 주 도메인을 광범위하게 애완동물 관련 전반적인 이야기로 운영을하고, 좀 더 세분화한 홈페이지를 따로 만들고 싶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개 전문 웹사이트와 고양이 전문 웹사이트, 토끼 전문 웹사이트 이런 식으로 말이죠.
예시:
- 메인 도메인:
mypetstore.com
- 서브 도메인:
dogs.mypetstore.com
cats.mypetstore.com
rabbits.mypetstore.com
- 각 서브 도메인은 별도의 웹사이트나 메인 사이트의 특정 섹션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서브도메인 사용이유 2: 애드센스 자동확장
여러 블로거들이 서브 도메인을 사용해서 블로그를 운영하는 이유 중 가장 핵심적인 이유는 바로 주 도메인에서 승인된 애드센스를 서브 도메인에 추가적인 승인 절차 없이 광고를 게재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즉, 현재 워플이 wplaybook.com 으로 애드센스 승인을 받고, 별다른 절차없이 all100adsense.wplaybook.com에 애드센스 광고를 달고 있는 것처럼 말이죠! 하나의 도메인을 사용해서 애드센스 승인을 받은 후, 보통 3개에서 5개, 많게는 10개의 서브 도메인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할 때 알고 있으면 좋은 도메인 용어 및 개념을 알아보았습니다. 주 도메인(Primary domain), 추가 도메인(Addon domain), 주차 도메인(Parked domain), 서브 도메인(Sub domain)의 차이점을 확실히 아시겠죠? 각 도메인의 특성과 사용 용도를 잘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수익화를 연구하는 워플과 데이터 분석을 연구하는 슬기로운통계생활의 창업자이며, 2021년 부터 온라인 사업을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500개가 넘는 영상을 제작했으며, 여러 회사들과 협업을 통해 강의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워플을 통해 워드프레스 웹사이트를 사용하여, 수익으로 이뤄지는 퍼널 만들기, SEO 및 커뮤니티 수익화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오래 지속가능한, 건전한 온라인 수익화를 추구합니다.